조성을 나타내는 조표를 보면 으뜸음을 찾아내어 음계를 만들 수 있다. 이때 계이름 '도'를 으뜸음으로 하는 음계인 장조와 계이름 '라'를 으뜸음으로 하는 음계인 단조가 하나씩 만들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같은 조표를 사용하지만 다른 으뜸음을 사용하는 장조와 단조를 나란한조라고 부른다.
나란한조의 장조는 계이름 '도-레-미-파-솔-라-시'의 음계를 갖고, 단조는 계이름 '라-시-도-레-미-파-솔'의 음계를 갖는다. (나란한조는 같은 조표를 사용하기 때문에 같은 음을 가리키는 계이름을 사용한다.)
올림표(#)가 5개 있는 조표를 사용하는 나란한조인 나장조(B장조, B major)와 올림사단조(G#단조, G# minor)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자.
Ⅰ. 음계와 으뜸음
악기를 연주할 때에는 대부분 음높이가 고정된 음이름을 사용하여 연주하지만, 노래를 부를 때에는 계이름을 사용하여 부르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음이름과 계이름은 같이 알아두는 것이 좋다.
나장조의 으뜸음은 계이름 '도'이고, 이것은 음이름 나(B)를 가리킨다. 그러므로 나장조 음계의 음이름은 '나, 다#, 라#, 마, 바#, 사#, 가#, 나'가 되고, 이것을 다장조 계이름으로 읽으면 '시, 도#, 레#, 미, 파#, 솔#, 라#, 시'가 된다.
올림사단조의 으뜸음은 계이름 '라'이고, 이것은 음이름 사#(G#)을 가리킨다. 그러므로 올림사단조 음계의 음이름은 '사#, 가#, 나, 다#, 라#, 마, 바#, 사#'이 되고, 이것을 다장조 계이름으로 읽으면 '솔#, 라#, 시, 도#, 레#, 미, 파#, 솔#'이 된다.
* 나장조와 올림사단조의 조표에 올림표(#)가 5개 있는 이유
장음계의 계이름에서 '미-파', '시-도'는 반음, 나머지 음들의 관계는 온음 관계이어야 한다. 나(B)음을 '도'로 삼아 계이름을 나열하면 '도-레'는 반음, '미-파'는 온음, '파-솔'은 반음, '시-도'는 온음 관계가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장조와 올림사단조에서는 다(C)음과 라(D)음, 바(F)음, 사(G)음, 가(A)음에 올림표(#)를 붙여주었다.
* 반음과 온음, 계이름, 조표보고 도 찾기 : https://youtu.be/PWUvEBCOca8
* 음계 : https://geumse.com/9
1. 음정을 이용하여 나장조와 올림사단조의 '도'를 찾는 방법
조표에서 사용하는 올림표(#)의 뜻은 으뜸음을 완전5도(온음 3개 + 반음 1개 = 반음 7개) 올린다는 뜻이므로, 올림표가 5개 있을 때에는 완전5도를 5번 올려준다.
1) 다장조의 '도'에서 음이 올라가는 순서는 '도-레(온음) + 레-미(온음) + 미-파(반음) + 파-솔(온음)'이므로, 다장조의 '도'를 완전5도 올리면 다장조의 '솔'이 된다.
2) 다장조의 '솔'에서 음이 올라가는 순서는 '솔-라(온음) + 라-시(온음) + 시-도(반음) + 도-레(온음)'이므로, 다장조의 '솔'을 완전5도 올리면 다장조의 '레'가 된다.
3) 다장조의 '레'에서 음이 올라가는 순서는 '레-미(온음) + 미-파(반음) + 파-솔(온음) + 솔-라(온음)'이므로, 다장조의 '레'를 완전5도 올리면 다장조의 '라'가 된다.
4) 다장조의 '라'에서 음이 올라가는 순서는 '라-시(온음) + 시-도(반음) + 도-레(온음) + 레-미(온음)'이므로, 다장조의 '라'를 완전5도 올리면 다장조의 '미'가 된다.
5) 다장조의 '미'에서 음이 올라가는 순서는 '미-파(반음) + 파-솔(온음) + 솔-라(온음) + 라-시(온음)'이므로, 다장조의 '미'를 완전5도 올리면 다장조의 '시'가 된다.
6) 그러므로 올림표가 5개 있는 조표에서의 '도'는 다장조의 '시'가 된다.
2. 조표를 이용하여 나장조와 올림사단조의 '도'를 찾는 방법
조표에 올림표(#)가 있는 경우에는 마지막 올림표의 음정보다 2도 높은 음정이 '도'가 된다. 음정에서 1도는 자기 자신을 가리키므로, 마지막 올림표가 있는 줄의 바로 위의 칸, 마지막 올림표가 있는 칸의 바로 위의 줄이 '도'가 되는 것이다.
마지막 올림표가 줄에 있는 경우에는 바로 위의 칸이 '도'가 되고, 마지막 올림표가 칸에 있는 경우에는 바로 위의 줄이 '도'가 된다.
Ⅱ. 주요 3화음
화음을 이루는 구성음이 3개인 화음을 3화음이라고 한다. 기본적으로 3화음을 만들 때에는 음계를 구성하는 7개의 음 위에 3도씩 음을 쌓아가며 화음을 만들게 된다. 이 중 음계의 첫 번째 음인 으뜸음, 네 번째 음인 버금딸림음, 다섯 번째 음인 딸림음을 밑음으로 쌓은 화음을 주요 3화음이라고 부른다.
화음의 음정을 계산할 때에는 음정의 도수를 먼저 계산한 후, 반음의 변화에 따라 완전음정, 장음정, 단음정, 감음정, 겹감음정, 증음정, 겹증음정으로 구분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조표나 임시표의 영향으로 변화되는 반음의 변화를 잘 확인해야만 한다.
* 다장조 계이름을 사용하여 설명하는 것이 이해하기 좋으므로, 다장조 계이름으로 설명한다.
1. 나장조의 주요 3화음
1) 으뜸화음(Ⅰ) : 시 - 레# - 파#
'시'와 '레'의 관계는 반음이 1개 있는 단3도이지만, '레'가 조표의 영향을 받아 '레#'이 되므로 반음이 사라지게 되어 장3도로 바뀌게 된다. '레'과 '파'의 관계는 반음이 1개 있는 단3도이다. ('레'와 '파'는 같은 변화표인 올림표가 붙어있으므로, 올림표를 무시하고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나장조의 으뜸화음은 장3도 + 단3도 관계인 장3화음이 되고, 코드네임으로 B를 사용하게 된다.
2) 버금딸림화음(Ⅳ) : 미 - 솔# - 시
'미'와 '솔'의 관계는 반음이 1개 있는 단3도이지만, '솔'이 조표의 영향을 받아 '솔#'이 되므로 반음이 사라지게 되어 장3도로 바뀌게 된다. '솔'과 '시'의 관계는 반음이 없는 장3도이지만, '솔'이 조표의 영향을 받아 '솔#'이 되므로 반음이 1개 있는 단3도로 바뀌게 된다. 따라서 나장조의 버금딸림화음은 장3도 + 단3도 관계인 장3화음이 되고, 코드네임으로 E를 사용하게 된다.
3) 딸림화음(Ⅴ) : 파# - 라# - 도#
(같은 변화표인 올림표가 붙어있으므로, 올림표를 무시하고 계산할 수 있다.)
'파'와 '라'의 관계는 반음이 없는 장3도이다. '라'와 '도'의 관계는 반음이 1개 있는 단3도이다. 따라서 나장조의 딸림화음은 장3도 + 단3도 관계인 장3화음이 되고, 코드네임으로 F#을 사용하게 된다.
2. 올림사단조의 주요 3화음
단조가 사용하는 단음계에는 자연단음계, 화성단음계, 가락단음계 3가지가 있지만, 화성단음계의 주요3화음을 단조의 주요 3화음으로 취급한다. 화성단음계는 곡이 마치는 느낌을 주기 위하여 자연단음계의 7번째 음에 올림표(#)를 붙여 원래의 음보다 반음 올려준 음계이다. 올림사단조의 7번째 음은 바#(F#)음으로, 다장조 계이름의 '파#'이다.
1) 으뜸화음(ⅰ) : 솔# - 시 - 레#
'솔'과 '시'의 관계는 반음이 없는 장3도이지만, '솔'이 조표의 영향을 받아 '솔#'이 되므로 반음이 1개 있는 단3도로 바뀌게 된다. '시'와 '레'의 관계는 반음이 1개 있는 단3도이지만, '레'가 조표의 영향을 받아 '레#'이 되므로 반음이 사라지게 되어 장3도로 바뀌게 된다. 따라서 올림사단조의 으뜸화음은 단3도 + 장3도 관계인 단3화음이 되고, 코드네임으로 G#m를 사용하게 된다.
2) 버금딸림화음(ⅳ) : 도# - 미 - 솔#
'도'와 '미'의 관계는 반음이 없는 장3도이지만, '도'가 조표의 영향을 받아 '도#'이 되므로 반음이 1개 있는 단3도로 바뀌게 된다. '미'와 '솔'의 관계는 반음이 1개 있는 단3도이지만, '솔'이 조표의 영향을 받아 '솔#'이 되므로 반음이 사라지게 되어 장3도로 바뀌게 된다. 따라서 올림사단조의 버금딸림화음은 단3도 + 장3도 관계인 단3화음이 되고, 코드네임으로 C#m를 사용하게 된다.
3) 딸림화음(Ⅴ) : 레# - (파#)# - 라#
(같은 종류의 변화표인 올림표가 붙어있으므로, 올림표가 없는 상태로 계산할 수 있다. 단, 화성단음계는 7번째 음에 올림표(#)를 붙여주므로 '파'를 '파#'으로 계산한다.)
'레'와 '파'의 관계는 반음이 1개있는 단3도이지만, '파'가 올림표의 영향을 받아 '파#'이 되므로 반음이 사라지게 되어 장3도로 바뀌게 된다. '파'와 '라'의 관계는 반음이 없는 장3도이지만, '파'가 올림표의 영향을 받아 '파#'이 되므로 반음이 1개 있는 단3도로 바뀌게 된다. 따라서 올림사단조의 딸림화음은 장3도 + 단3도 관계인 장3화음이 되고, 코드네임으로 D#을 사용하게 된다.
* #이 2개있으면 온음을 올리는 것이다. 올림사단조는 '솔'음에 올림표가 붙기 때문에 (파#)#음을 악보에 나타낼때에는 '솔'음에 임시표인 제자리표를 붙여 표시하거나 '파'음에 겹올림표를 붙여 표시한다.
* 화음이 만들어지는 원리 : https://geumse.com/17
Ⅲ. 관계조
나란한조는 같은 조표를 사용하지만 으뜸음이 다른 조(장조와 단조)의 관계를 말한다. 같은 으뜸음조는 조표는 다르지만 으뜸음이 같은 조(장조와 단조) 관계를 말한다. 버금딸림음조는 음계를 완전5도 내렸을 때와 같은 음계를 갖는 조(장조는 장조, 단조는 단조)로, 조표에 내림표(♭)가 1개 추가된다. 딸림음조는 음계를 완전5도 올렸을 때와 같은 음계를 갖는 조(장조는 장조, 단조는 단조)로, 조표에 올림표(#)가 1개 추가된다. (버금딸림음조와 딸림음조는 조옮김이므로 장조가 단조로 바뀌거나, 단조가 장조로 바뀌는 일이 없다.)
1. 나장조의 관계조
나장조와 같은 조표를 사용하는 나란한조는 올림사단조이다. 나장조의 딴이름한소리조는 내림다장조이다. 나장조와 같은 으뜸음을 사용하는 같은 으뜸음조는 나단조이다. 나장조의 버금딸림음조는 내림표(♭)가 1개 추가되어 4개의 올림표를 조표로 사용하는 마장조이다. 나장조의 딸림음조는 올림표(#)가 1개 추가되어 6개의 올림표를 조표로 사용하는 올림바장조이다.
2. 올림사단조의 관계조
올림사단조와 같은 조표를 사용하는 나란한조는 나장조이다. 올림사단조의 딴이름한소리조는 내림가단조이다. 올림사단조는 내림가단조와 딴이름한소리조이므로, 같은 으뜸음을 사용하는 같은 으뜸음조는 내림가장조가 된다. 올림사단조의 버금딸림음조는 내림표(♭)가 1개 추가되어 4개의 올림표를 조표로 사용하는 올림다단조이다. 올림사단조의 딸림음조는 올림표(#)가 1개 추가되어 6개의 올림표를 조표로 사용하는 올림라단조이다.
* 내림다장조와 내림가단조 : https://geumse.com/40
'음악 이론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샾(#)이 7개인 조표, 올림다장조와 올림가단조에 대하여 알아보자. (샾 조표 공부하기, 올림표 조표 공부하기) (0) | 2019.09.08 |
---|---|
샾(#)이 6개인 조표, 올림바장조와 올림라단조에 대하여 알아보자. (샾 조표 공부하기, 올림표 조표 공부하기) (0) | 2019.09.07 |
샾(#)이 4개인 조표, 마장조와 올림다단조에 대하여 알아보자. (샾 조표 공부하기, 올림표 조표 공부하기) (0) | 2019.08.08 |
샾(#)이 3개인 조표, 가장조와 올림바단조에 대하여 알아보자. (샾 조표 공부하기, 올림표 조표 공부하기) (0) | 2019.07.30 |
샾(#)이 2개인 조표, 라장조와 나단조에 대하여 알아보자. (샾 조표 공부하기, 올림표 조표 공부하기) (0) | 2019.07.29 |